∙ int nums[5] = {11, 22, 33, 44, 55};

∙ int *ptr = nums + 1; ⇒ int형 포인터 변수 ptr은 nums 배열의 시작 주소, 즉 nums[0]에서 1이 더해진 nums[1]의 주소로 초기화됨

*ptr
∙ int i; ⇒ int형 변수 i를 선언함
∙ for (i = 0; i < 4; i++) printf("%d ", *ptr++);
⇒ 변수 i가 0으로 초기화되어 1씩 증가하면서 i<4를 만족하는 동안 *ptr++를 출력함.
i가 0일 때 : *ptr++는 후증가이므로 22를 출력 후 1 증가 (*ptr은 nums[2] 주소로 변경)
i가 1일 때 : *ptr++는 후증가이므로 33을 출력 후 1 증가 (*ptr은 nums[3] 주소로 변경)
i가 2일 때 : *ptr++는 후증가이므로 44를 출력 후 1 증가 (*ptr은 nums[4] 주소로 변경)
i가 3일 때 : *ptr++는 후증가이므로 55를 출력 후 1 증가 (*ptr은 nums[5] 주소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