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중 무선 AP(Access Point)에 전송데이터의 암호화 방식이나 인증절차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보안 강화책이 아닌 것은?
    • ① WEP(Wired Equivalent Privacy) 설정한다.
    • ② WAP2(Wi-Fi Protected Access v2) 설정한다.
    • ③ Rogue AP로 대체한다.
    • ④ 무선 AP에 SSID값을 ‘NULL’로 설정한다.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다음 중 무선 LAN보안에 AES 128비트를 사용하여 최상의 암호수준을 제공하는 것은?
    • ①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②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 ③ WPA2(Wi-Fi Protected Access v2)
    • ④ WPA(Wi-Fi Protected Access)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다음 중 기기 인증기술 중에서 보안수준은 하위수준 이지만, 접속이 가장 용이하고, 추가적인 프로토콜이 필요치 않고, 접속지연이 최소인 것은?
    • ① ID/PW기반 인증기술
    • ②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인증기술
    • ③ Challenge/Response 인증기술
    • ④ PKI(Public Key Infrastructure)기반 기기 인증서를 활용한 인증기술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다음은 무선 AP(Access Point)가 태생적으로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신규로 설치 시 고려할 사항을 나열한 것이다. 틀린 것은?
    • ① AP 기본계정의 패스워드를 재설정한다.
    • ②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한다.
    • ③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에 의한 IP주소 할당을 중지한다.
    • ④ AP에 접속이 가능한 무선 랜카드 MAC주소를 기록하여 이를 반영하여 접속을 통제한다.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다음 중 응용계층에서 동작되는 보안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 ① S/MIME(Secur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 ② SSH(Secure SHell)
    • ③ SSL(Secure Socket Layer)
    • ④ S-HTTP(Secure Hyper Text Transper Protocol)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인터넷에 보안채널(Secure Channel)을 만들어 공용인터넷을 사설망처럼 사용하는 기술이다. 통신프로토콜 3계층(네트워크계층)에 보안프로토콜을 추가하여 VPN을 구현하는 기술은?
    • ①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 ② SSL(Secure Socket Layer)
    • ③ DNSsec(DNS Security)
    • ④ S-HTTP(Secure Hyper Text Transper Protocol)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중 산재되어 있는 수많은 컴퓨터를 동원하여 동일 시간에 특정 컴퓨터에 트래픽 폭탄을 보내어 특정 컴퓨터가 정상적인 작동을 못하게 하는 공격은?
    • ① APT(Advanced Persistence Threat) 공격
    • ② DOS(Denial Of Service) 공격
    • ③ IP Spoofing 공격
    • ④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다음 <보기>의 설명과 가장 가까운 장비는?
    < 보 기 >
    방화벽과 침입탐지시스템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실시간 방어체제를 구축한 장비이다. 이 장비는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분석하고 해킹으로 판단되면 패킷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한다.
    • ①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s) 보안장비
    • ② VPN(Virtual Private Network) 보안장비
    • ③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보안장비
    • ④ NAC(Network Access Control) 보안장비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다음 중 방화벽으로 할 수 있는 것은?
    • ① 악성코드 침입 차단
    • ② 내부자 공격 차단
    • ③ 방화벽을 우회하는 트래픽 차단
    • ④ 외부자의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통제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다음 중 공격 대상시스템의 로그에 흔적을 남기지 않은 포트 스캔 기술은?
    • ① ICMP Scan
    • ② UDP Scan
    • ③ TCP Scan
    • ④ Stealth Scan
    (2023년 9급 해양경찰(2차) 네트워크보안)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