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X재에 대한 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이 다음과 같을 때 옳지 않은 것은? (단, QD는 수요량, QS는 공급량, P는 가격이다)
    ∘ 시장수요곡선 : QD = 100 - P
    ∘ 시장공급곡선 : QS = -20 + P
    • ① 균형 시장가격은 60이다.
    • ② 균형 시장거래량은 40이다.
    • ③ 소비자잉여는 800이다.
    • ④ 생산자잉여가 소비자잉여보다 크다.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지방자치제도의 당위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티부 모형(Tiebout model)의 기본 가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사람들이 각 지역에서 제공하는 재정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갖는다.
    • ② 사람들의 이동성에 제약이 없다.
    • ③ 생산기술이 규모수익체증의 특성을 갖는다.
    • ④ 외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IS - LM 모형에서 확장적 통화정책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게 짝 지은 것은? (단, IS 곡선은 우하향, LM 곡선은 우상향한다)
    ∘ IS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인한 국민소득의 증가폭이 ( ㉠ ).
    ∘ LM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인한 국민소득의 증가폭이 ( ㉡ ).
     
    커진다커진다
    커진다작아진다
    작아진다커진다
    작아진다작아진다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경제활동인구가 일정한 경제에서 안정상태(steady state)의 실업률이 10 %이다. 매월 취업자 중 2 %가 직장을 잃고 실업자가 되는 경우, 기존의 실업자 중 매월 취업을 하게 되는 비율은?
    2 %   8 %
    10 %   18 %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A기업의 단기생산함수가 다음과 같을 때, 완전경쟁시장에서 A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수준에서 노동 50단위를 고용하고 있다. 노동 한 단위당 임금이 300일 경우,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물 가격은? (단, 노동시장은 완전경쟁시장이고, Q는 생산량, L은 노동이다)
    A 기업의 단기생산함수 : Q(L)=200L-L2
    1 3 5 9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X재 시장은 완전경쟁적이며, 각 기업의 장기총비용함수와 X재에 대한 시장수요곡선은 다음과 같다. X재 시장의 장기균형에서 시장균형가격과 진입하여 생산하는 기업의 수를 옳게 짝 지은 것은? (단, P는 가격이고, q는 각 기업의 생산량이고, 모든 기업들의 비용함수 및 비용조건은 동일하다)
    ∘ 장기총비용함수 : TC(q) = 2q3 - 12q2 + 48q
    ∘ 시장수요곡선 : D(P) = 600 - 5P
     장기시장균형가격기업의 수
    20100
    20120
    30150
    30180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현재 시점에서 A국 경제의 채권시장에 1년 만기, 2년 만기, 3년 만기 국채만 존재하고 각각의 이자율이 3 %, 5 %, 6 %이다. 현재 시점으로부터 2년 이후에 성립하리라 기대되는 1년 만기 국채의 이자율 예상치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이자율의 기간구조에 대한 기대이론이 성립한다)
    4 % 6 % 8 % 10 %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밑줄 친 ㉠에 대한 근거로 옳지 않은 것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정부는 소득세의 대폭 감면을 통해 경기회복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정부지출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세금감면에 따른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게 되면 이러한 재정정책의 결과로 ㉠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다.
    • ① 소비자들이 현재 저축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② 소비자들은 현재소득과 미래소득 모두를 고려하여 소비를 결정한다.
    • ③ 소비자들은 미래에 세금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 ④ 소비자들은 미래에 금리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다음 성장회계(growth accounting)식에서 노동자 1인당 GDP 증가율이 4%, 노동자 1인당 자본 증가율이 6%일 때,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1 % 2 % 3 % 4 %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조작정책을 시행하여 국채를 매입하는 경우, 예상되는 경제현상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총수요 곡선은 우하향한다)
    ㄱ. 유동성선호이론에 의하면, 국채매입은 화폐시장에 초과공급을 유발하여 이자율을 상승시킨다. ㄴ. 단기적으로 총수요 증가를 통해 산출량은 증가하고 물가도 상승한다. ㄷ. 장기적으로 경제는 자연산출량 수준으로 회귀한다. ㄹ. 새고전학파에 따르면, 경제주체의 정책 예상이 완벽한 경우 단기에도 산출량은 불변이고 물가만 상승한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ㄴ, ㄷ, ㄹ
    (2020_7급_국가직_경제학(나)_2020년 09월 26일)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