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부 스키마는 개별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내부 스키마는 스키마라고도 하며, 물리적 레코드 즉, 블록이나 페이지 또는 트랙이나 실린더에 관한 명세이다.
㉢ 개념 스키마는 개체, 관계, 제약조건,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에 관한 명세를 포함한다.
㉣ 서브 스키마는 내부 저장 레코드 형식, 인덱스 유무,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에 관한 명세를 포함한다.
㉠ B-트리에서 새로운 키 값은 항상 단말 노드에 삽입된다.
㉡ B+-트리에서 내부(또는 중간) 노드의 키 값이 단말 노드에 중복하여 나타날 수 있다.
㉢B+-트리에서 키 값의 삭제는 B-트리보다 간단하다.
㉣ B-트리에서 오버플로가 발생하여 단말 노드가 분할될 때, 중간 키 값이 부모 노드뿐만 아니라 새로 분할된 노드에도 저장된다.
㉠ 어느 한 시점에 릴레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튜플의 집합이다.
㉡ 릴레이션에서 동적인 성질을 의미한다.
㉢ 릴레이션의 내포(Intension)를 표현한 구조이다.
㉣ 시간에 따라 삽입연산, 삭제연산, 변경연산을 통해 릴레이션의 값을 변화시킨다.
㉤ 릴레이션 이름, 애트리뷰트 이름, 제약조건을 의미한다.
7 다음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를 구성하는 3개의 릴레이션 T1, T2, T3(3개의 개체와 2개의 관계는 3개의 릴레이션으로 변환)에 대한 참조무결성 제약조건을 정의하였다고가정하자. 정의한 참조무결성 제약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연산들을 모두 고른 것은?
㉠ T1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하는 삽입연산 ㉡ T1 테이블에서 튜플을 검색하는 검색연산 ㉢ T2 테이블에서 외래키값을 수정하는 변경연산 ㉣ T2 테이블에서 기존 튜플을 삭제하는 삭제연산 ㉤ T3 테이블에 새로운 튜플을 삽입하는 삽입연산 ㉥ T3 테이블에서 기존 튜플을 삭제하는 삭제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