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과 ㉡ 두 인물의 공통된 신분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 은(는)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통하여 조언하였다.
    ∘ ㉡ 은(는) 진성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
    • ① 왕이 될 수 있는 신분이었다.
    • ② 자색(紫色)의 공복을 착용하였다.
    • ③ 중앙 관부의 최고 책임자를 독점하였다.
    • ④ 관등 승진에서 중위제(重位制)를 적용받았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가) ~(다)는 고구려의 발전 과정을 시기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낙랑군을 차지하여 한반도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다)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였다.
    < 보 기 >
    ㄱ. 태학을 설립하였다. ㄴ.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ㄷ.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ㄹ. 신라를 도와 왜를 격퇴하였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다음 제도를 시행한 목적에 해당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무릇 민호(民戶)는 그 이웃과 더불어 모으되, 가족 숫자의 다과(多寡)와 재산의 빈부에 관계없이 다섯 집마다 한 통(統)을 만들고, 통 안에 한 사람을 골라서 통수(統帥)로 삼아 통 안의 일을 맡게 한다.
    ∘ 1리(里) 마다 5통 이상에서 10통까지는 소리(小里)를 삼고, … (중략) … 리(里) 안에서 또 이정(里正)을 임명한다.
    - 비변사등록 -
    < 보 기 >
    ㄱ. 농민들의 도망과 이탈 방지
    ㄴ. 부세와 군역의 안정적인 확보
    ㄷ.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 자치 활성화
    ㄹ. 향권을 둘러싼 구향과 신향 간의 향전 억제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다음 발의로 개최된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베이징 방면의 인사는 분열을 통탄하며 통일을 촉진하는 단체를 출현시키고 상하이 일대의 인사는 이를 고려하여 개혁을 제창하고 있다. …(중략) … 근본적 대해결로써 통일적 재조를 꾀하여 독립운동의 신국면을 타개하려고 함에는 다만 민의뿐이므로 이에 ㉠ 의 소집을 제창한다.
    • ① 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 ② 한국국민당을 통한 정당정치 실시가 결정되었다.
    • ③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강령이 채택되었다.
    • ④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가)∼(라)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 ① (가) - 현량과를 실시하였다.
    • ② (나) - 무오사화와 갑자사화가 일어났다.
    • ③ (다) - 두 차례에 걸친 예송이 일어났다.
    • ④ (라) - 신해통공으로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다음 자료에 나타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을 추니 이를 무천이라 한다. 또 호랑이를 신(神)으로 여겨 제사지낸다. 읍락을 함부로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는데, 이를 책화라 한다.
    • ① 후·읍군·삼로 등이 하호를 통치하였다.
    • ② 국읍마다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는 천군이 있었다.
    • ③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다음 뼈만 추려 목곽에 안치하였다.
    • ④ 아이가 출생하면 돌로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건의문이 결의된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1.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힘을 합하여 전제 황권을 견고하게 할 것 2.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조약은 각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할 것 3. 국가 재정은 탁지부에서 전관하고, 예산과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할 것 4. 중대 범죄를 공판하되, 피고의 인권을 존중할 것 5. 칙임관을 임명할 때에는 정부의 자문을 받아 다수의 의견에 따를 것 6. 정해진 규정을 실천할 것
    • ①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개혁이 추진되었다.
    • ② 황제권 강화 작업의 일환으로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 ③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 ④ 서재필을 중심으로 민중 계몽을 위한 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밑줄 친 ‘이 기구’가 설치된 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조정은 중국의 화약 제조 기술을 터득하여 '이 기구'를 두고, 대장군포를 비롯한 20여 종의 화기를 생산하였으며,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다.
    • ① 복원궁을 건립하여 도교를 부흥시켰다.
    • ② 흥덕사에서 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하였다.
    • ③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속장경을 간행하였다.
    • ④ 시무 28조를 수용하여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 중립국화를 건의하였다.
    • ②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응하여 영국 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 ③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여 청나라 상인에게 통상 특혜를 허용하였다.
    • ④ 청·일 양국 군대가 조선에서 철수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톈진조약이 체결되었다.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임을 입증하는 근거로만 옳게 짝지어진 것은?
    • ① 이범윤의 보고문 - 은주시청합기
    • ②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삼국접양지도
    • ③ 미쓰야 협정 -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
    • ④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 어윤중의 서북경략사
    (2017_9급_국가직_한국사(나)_2017년 04월 08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