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한반도 선사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구석기시대 전기에는 주먹도끼와 슴베찌르개 등이 사용되었다.
    • ② 신석기시대 집터는 대부분 움집으로 바닥은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다.
    • ③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조개류를 많이 먹었으며, 때로는 장식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 ④ 청동기시대의 전형적인 유물로는 비파형동검·붉은간토기·반달돌칼·홈자귀 등이 있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다음 자료를 쓴 역사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 사회의 아와 비아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며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의 상태의 기록이니,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라 하면 조선 민족의 그리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니라.
    • ① 『여유당전서』를 발간하여 조선후기 실학자들을 재평가하였다.
    • ② 을지문덕, 최영, 이순신 등 애국명장의 전기를 써서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 ③ 『조선사회경제사』를 저술하여 세계사적 보편성 속에서 한국사를 해석하였다.
    • ④ ‘5천 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여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군사제도가 실시된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① ㄱ→ㄴ→ㄷ→ㄹ
    • ② ㄱ→ㄹ→ㄴ→ㄷ
    • ③ ㄴ→ㄱ→ㄷ→ㄹ
    • ④ ㄴ→ㄹ→ㄱ→ㄷ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가), (나)의 특징을 가진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나) 부여의 별종(別種)이라 하는데, 말이나 풍속 따위는 부여와 많이 같지만 기질이나 옷차림이 다르다.
              - 삼국지』위서 동이전 -
    • ① (가) - 혼인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 ② (나) - 제사장인 천군이 다스리는 소도가 있었다.
    • ③ (가) - 남의 물건을 훔쳤을 때는 12배로 배상하게 하였다.
    • ④ (나) - 단궁이라는 활과 과하마·반어피 등이 유명하였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다음 글을 지은 사람들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문(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文) (나) 대견훤기고려왕서(代甄萱寄高麗王書) (다) 낭원대사오진탑비명(郎圓大師悟眞塔碑銘)
    • ① 골품제를 비판하고 호족 억압을 주장하였다.
    • ② 국립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에서 공부하였다.
    • ③ 신라뿐만 아니라 고려왕조에서도 벼슬하였다.
    • ④ 당나라에 유학하여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였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다음 밑줄 친 ‘대사’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 엔닌은 '대사'의 어진 덕을 입었기에 삼가 우러러 뵙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저는 이미 뜻한 바를 이루기 위해 당나라에 머물러 왔습니다. 부족한 이 사람은 다행히도 '대사'께서 발원하신 적산원(赤山院)에 머물 수 있었던 것에 대해 감경(感慶)한 마음을 달리 비교해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 입당구법순례행기 -
    • ① 법화원을 건립하고 이를 지원하였다.
    • ② 당나라에 가서 서주 무령군 소장이 되었다.
    • ③ 회역사, 견당매물사 등의 교역 사절을 파견하였다.
    • ④ 웅주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켜 장안(長安)이라는 나라를 세웠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가)에서 이루어진 합의제도를 시행한 국가의 통치체제로 옳은 것은?
    호암사에는   (가)  (이)라는 바위가 있다. 나라에서 장차 재상을 뽑을 때에 후보 3, 4명의 이름을 써서 상자에 넣고 봉해 바위 위에 두었다가 얼마 후에 가지고 와서 열어 보고 그 이름 위에 도장이 찍혀 있는 사람을 재상으로 삼았다.
    - 삼국유사 -

    ㄱ. 중앙정치는 대대로를 비롯하여 10여 등급의 관리들이 나누어 맡았다.
    ㄴ. 중앙관청을 22개로 확대하고 수도는 5부, 지방은 5방으로 정비하였다.
    ㄷ. 16품의 관등제를 시행하고, 품계에 따라 옷의 색을 구별하여 입도록 하였다.
    ㄹ. 지방 행정 조직을 9주 5소경 체제로 정비하였다.
    ㅁ. 중앙에 3성 6부를 두고, 정당성을 관장하는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도록 하였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ㄹ, ㅁ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다음 글을 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오늘날 백성을 다스리는 자는 백성에게서 걷어들이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부양하는 방법은 알지 못한다. …… ‘심서 (心書)’라고 이름 붙인 까닭은 무엇인가? 백성을 다스릴 마음은 있지만 몸소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 붙인 것이다.
    • 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지전설을 주장하였다.
    • ② 『농가집성』을 펴내 이앙법 보급에 공헌하였다.
    • ③ 홍역 관련 의서를 종합해 『마과회통』을 저술하였다.
    • ④ 조선시대의 역사를 서술한 『열조통기』를 편찬하였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가)와 (나)의 인물에 대한 <보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는 “교(敎)를 배우는 이는 대개 안의 마음을 버리고 외면에서 구하고, 선(禪)을 익히는 이는 인연을 잊고 안의 마음을 밝히기를 좋아하니, 모두 한쪽에 치우친 것으로 두 극단에 모두 막힌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나)는 “정(定)은 본체이고 혜(慧)는 작용이다. 작용은 본체를 바탕으로 존재하므로 혜가 정을 떠나지 않고, 본체가 작용을 가져오게 하므로 정은 혜를 떠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였다.
    < 보 기 >
    ㄱ.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ㄴ. (가)와 (나)는 지방 호족과 연합하여 신라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ㄷ. (가)는 불교와 유교 모두 도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같다는 유·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ㄹ. (나)는 수선사 결성을 제창하여 불교계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ㄴ, ㄹ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옳은 것은?
    대외 무역이 발전하면서 예성강 어귀의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했으며, 대식국(大食國)으로 불리던 아라비아 상인들도 들어와 수은·향료·산호 등을 팔았다.
    • ① 해동통보와 은병(銀甁) 같은 화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 ② 인구․토지면적 등을 기록한 장적(帳籍, 촌락문서)이 작성되었다.
    • ③ 개성의 송상은 전국에 송방(松房)이라는 지점을 개설해서 활동하였다.
    • ④ 지방 장시의 객주와 여각은 상품의 매매뿐 아니라 숙박·창고·운송 업무까지 운영하였다.
    (2017_9급_지방직(1회)_한국사(B)_2017년 06월 17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