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가), (나) 무덤이 주로 제작된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보 기 >
    ㄱ. (가) :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다.
    ㄴ. (가) :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ㄷ. (나) : 계급이 없는 평등 사회였다.
    ㄹ. (나) : 반달 돌칼로 농작물을 수확하였다.
    ㄱ, ㄷ   ㄱ, ㄹ
    ㄴ, ㄷ   ㄴ, ㄹ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가)~(라)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에는 감옥이 없다. 범죄가 있으면 제가들이 의논하여 죽이며 처자는 노비가 되게 한다. (나)는 남으로 신라와 접하고 있다. 사방이 2천 리이며, 십여만 호가 살고, 병사가 수만 명이다. 풍속은 고구려, 거란과 같고, 문자 및 서책도 발달했다. (다)의 관직은 17등급이 있다. 문자와 군사는 중국과 같다. 건장한 남자는 모두 뽑아 군대에 편입시켰으며, 군영마다 대열이 조직되어 있다. (라)에는 여덟 씨족의 대성이 있는데 사씨, 연씨, 협씨, 해씨, 정씨, 국씨, 목씨, 백씨이다. 나라의 서남쪽에 사람이 살고 있는 섬이 15군데 있다.
    • ① (가)는 국호를 ‘남부여’라고 개칭하였다.
    • ② (나)에는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 ③ (다)에는 ‘골품제’라는 신분제가 존재하였다.
    • ④ (라)는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번영하였다.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가)와 (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 ① (가) 백제의 율령 반포
    • ② (가) 백제의 평양성 공격
    • ③ (나) 고구려의 태학 창설
    • ④ (나) 신라의 북한산 순수비 설립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밑줄 친 ‘고구려 왕’의 재위 기간에 고구려에서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옳은 것은?
    눌지왕 3년 고구려 왕이 사신을 보내 와서 “우리 임금님 께서 대왕의 아우 보해가 지혜와 재주를 갖추었다는 소식을 듣고 서로 가깝게 지내기를 원하여 특별히 소신을 보내어 간청하기에 이르렀습니다.”라 하였다. 이에 왕은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하여 화친을 맺기로 하고 아우 보해를 고구려로 보냈다.
    - 삼국유사 -
    • ① 전연 모용황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② 율령을 반포하였다.
    • ③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 ④ 부여가 고구려에 항복하며 멸망하였다.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다음 사건 이후 전개된 사실로 옳은 것은?
    명의 사신이 배에 오르자 우리 사신 일행도 배에 올랐다. 이에 앞서 사카이(界)에 도착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잡혀온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찾아왔다. … 왜장들도 말하기를 화친이 이루어지면 사신과 함께 포로들을 돌려보내겠다고 하더니 … 이때에 이르러 화친이 성사되지 못해 다시 죽이려 한다는 말을 듣게 되자 목 놓아 우는 포로들이 얼마인지 알 수 없었다.
    - 일본왕환일기 -
    • ① 조선은 일본과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제포만 개항하고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의 제한된 교역을 허용하였다.
    • ② 조선은 기민구제와 정병양성을 목적으로 훈련도감을 설치하였다.
    • ③ 조선을 도우러 온 명군이 충청도 직산에서 왜군과 맞붙어 승리하였다.
    • ④ 이순신이 사천해전에서 거북선을 처음 사용하였다.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가), (나) 비석을 세운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 ② (가) 5만의 군대를 보내 신라를 침략한 왜군을 물리쳤다.
    • ③ (나) 금관가야를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 ④ (나) 김흠돌의 모역을 진압하고 진골 귀족을 숙청하였다.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석탑이 세워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불국사 3층 석탑 ㄴ. 원각사지 10층 석탑 ㄷ. 경천사지 10층 석탑 ㄹ. 감은사지 동․서 3층 석탑
    • ① ㄱ-ㄹ-ㄴ-ㄷ
    • ② ㄱ-ㄹ-ㄷ-ㄴ
    • ③ ㄹ-ㄱ-ㄴ-ㄷ
    • ④ ㄹ-ㄱ-ㄷ-ㄴ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다음 밑줄 친 ‘왕’의 재위기간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옳은 것은?
    원(元)이 유수 보수와 전 이문낭중 장백상 등을 보내오자 이 교외에서 영접하였다. 장백상이 성지(聖旨)를 전하며 말하기를, “이미 정월 2일에 상왕(上王)에게 복위하라고 명하셨습니다.”라고 하였다. 왕과 좌우 신하들이 모두 놀라서 얼굴빛이 달라졌다. 장백상이 국새를 회수하고 모든 창고를 봉하였으며, 왕은 드디어 원으로 갔다.
    • ① 원의 일본 원정에 동원되는 백성
    • ② 밀직사에서 업무를 보는 관리
    • ③ 노국 공주의 죽음을 슬퍼하는 국왕
    • ④ 강화도에서 몽골에 대항하는 삼별초 군인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다음 자료를 저술한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후세 임금들은 천명을 받아 임금의 자리에 오른 만큼 그 책임이 지극히 무겁고 크지만, 자신을 다스리는 도구는 하나도 갖추어지지 않았습니다. … 바라옵건데 밝으신 임금께서는 이러한 이치를 깊이 살피시어, 먼저 뜻을 세워 “순임금은 어떤 사람이고 나는 어떤 사람인가? 노력하면 나도 순임금처럼 될 수 있다.”라고 생각하십시오.
    • ① 기호학파의 학문적 시조가 되는 사람이다.
    • ② 철학적 문제를 토론하는 것보다 의리와 명분 실천을 중시하였다.
    • ③ 사회 문제 해결 방안으로 수미법 실시를 적극 주장하였다.
    • ④ 이(理)는 만물의 근본이며 기(氣)를 이끈다고 주장하였다.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다음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수군, 조례, 나장, 일수, 봉수군, 역졸, 조졸
    < 보 기 >
    ㄱ. 사람들이 기피하는 천한 역을 담당하였다.
    ㄴ. 법제상 양인에 속해 있었다.
    ㄷ. 매매·상속·증여의 대상이 되는 비자유민이었다.
    ㄹ. 수령의 행정 실무를 보좌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2017_9급_기상직_한국사(A)_2017년 04월 0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