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가) 시기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35년 두만강 가의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에서 한반도 최초로 ( 가 ) 시대 유물인 석기와 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일본에서는 ( 가 ) 시대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 ①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 ② 넓적한 돌 갈판에 옥수수를 갈아서 먹었다.
    • ③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④ 영혼 숭배 사상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흙 그릇 안에 매장하였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종 원년 사노비 만적 등이 북산에서 땔나무를 하다가 공사의 노비들을 모아 모의하기를, “우리가 성 안에서 봉기하여 먼저 ( 가 ) 등을 죽인다. 이어서 각각 자신의 주인을 죽이고 천적(賤籍)을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자. 그러면 공경장상이라도 우리가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 ①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 ②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 ③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 ④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조선 전기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어우야담』을 비롯한 야담·잡기류가 성행하였다.
    • ② 유서(類書)로 불리는 백과사전이 널리 편찬되었다.
    • ③ 『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④ 중인층을 중심으로 시사가 결성되어 문학 활동을 벌였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군신, 부자, 부부, 붕우, 장유의 윤리는 인간의 본성에 부여된 것으로서 천지를 통하는 만고불변의 이치이고,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도(道)가 됩니다. 이에 대해 배, 수레, 군사, 농사, 기계가 국민에게 편리하고 나라에 이롭게 하는 것은 외형적인 것으로서 기(器)가 됩니다. 신이 변혁을 꾀하고자 하는 것은 기(器)이지 도(道)가 아닙니다.
    • ① 왜양일체론(倭洋一體論)을 주장하였다.
    • ② 근대 문물 수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③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견해를 대변하였다.
    • ④ 우등한 사회가 열등한 사회를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았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가)에 들어갈 기관으로 옳은 것은?
    5월에 조서를 내리기를 “개경 내의 사람들이 역질에 걸렸으니 마땅히 ( 가 ) 을/를 설치하여 이들을 치료하고, 또한 시신과 유골은 거두어 묻어서 비바람에 드러나지 않게 할 것이며, 신하를 보내어 동북도와 서남도의 굶주린 백성을 진휼하라.”라고 하였다.
    - 『고려사』 -
    의창   제위보
    혜민국   구제도감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밑줄 친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장수왕은 군사 3만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공하여 왕도인 이 지역을 함락시켜, 개로왕을 살해하고 남녀 8천 명을 사로잡아 갔다.
    • ① 망이, 망소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 ② 고려 문종 대에 남경이 설치되었다.
    • ③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 ④ 고려 태조가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사건이 일어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그들 조선군은 비상한 용기를 가지고 응전하면서 성벽에 올라 미군에게 돌을 던졌다. 창칼로 상대하는데 창칼이 없는 병사들은 맨손으로 흙을 쥐어 적군 눈에 뿌렸다. 모든 것을 각오하고 한 걸음 한 걸음 다가드는 적군에게 죽기로 싸우다 마침내 총에 맞아 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 ① 군포에 대한 양반들의 면세특권이 폐지되었다.
    • ② 금난전권을 제한하려는 통공정책이 시작되었다.
    • ③ 결작세가 신설되면서 지주들의 부담이 증가하였다.
    • ④ 영정법이 제정되어 복잡한 전세 방식이 일원화되었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가)~(라)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가) - 백제 침류왕이 불교를 받아들였다.
    • ② (나) - 고구려 영양왕이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 ③ (다) - 백제가 신라 대야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 ④ (라) - 신라가 매소성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밑줄 친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臣)이 이 책을 편수하여 바치는 것은 … (중략) … 중국은 반고부터 금국에 이르기까지, 동국은 단군으로부터 본조(本朝)에 이르기까지 처음 일어나게 된 근원을 간책에서 다 찾아보아 같고 다른 것을 비교하여 요점을 취하고 읊조림에 따라 장을 이루었습니다.
    • ① 성리학적 유교 사관이 반영되어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 ② 국왕, 훈신, 사림이 서로 합의하여 통사체계를 구성하였다.
    • ③ 원 간섭기에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④ 왕명으로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노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다음 그래프에 표시된 시기에 일어난 사회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해외로부터 귀환인이 급증하여 식량이 부족했다.
    • ② 38도선 분할 점령 이후 식료품 부문의 생산이 크게 위축되었다.
    • ③ 미군정이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화폐를 과도하게 발행했다.
    • ④ 미곡수집제 폐지, 토지개혁 실시를 주장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2020_9급_국가직_한국사(가)_2020년 07월 11일) 해설보기 동영상해설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