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풍속이 있었던 나라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은나라 달력으로 정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여서 연일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춘다. …(중략)… 이때는 형옥을 판단하고, 가두었던 죄수들을 풀어준다.
    - 삼국지 -
    • ① 무덤은 돌을 쌓아 만들고, 소나무나 잣나무로 둘러쳤다.
    • ② 남녀가 간음하거나 부인이 투기가 심하면 사형에 처하였다.
    • ③ 국읍마다 천군이 있었고, 별읍에는 소도라는 신성 구역이 설치되었다.
    • ④ 산천의 경계를 중시하여, 함부로 침범하면 우마 등으로 배상하게 하였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보기>의 사건들을 시간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 보 기 >
    ㄱ. 이사부가 이끄는 신라군이 대가야를 멸망시켰다. ㄴ. 백제군의 평양성 공격으로 고국원왕이 전사하였다. ㄷ. 고구려군이 백제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죽였다. ㄹ. 신라를 침탈하던 왜병이 고구려군에게 격멸당하였다.
    • ① ㄴ-ㄷ-ㄹ-ㄱ
    • ② ㄴ-ㄹ-ㄷ-ㄱ
    • ③ ㄹ-ㄴ-ㄱ-ㄷ
    • ④ ㄹ-ㄷ-ㄴ-ㄱ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밑줄 친 (    )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은/는 이미 계를 어겨 아들 총(聰)을 낳은 후에는 세속의 옷으로 바꿔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라고 하였다. 우연히 광대들이 춤출때 쓰는 큰 박을 얻었는데, 모양이 괴상하였다. 그 모양을 본떠서 도구를 제작하여, 『화엄경』의 “일체 무애인(無㝵人)은 한 번에 생사를 벗어난다.”라는 구절에 나오는 무애라는 이름을 붙이고,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 『삼국유사』 -
    • ① 화엄종의 중심 사찰인 부석사를 창건하였다.
    • ② 세속오계를 제시하고 호국 불교의 전통을 세웠다.
    • ③ 황룡사에 9층 목탑을 세울 것을 왕에게 건의하였다.
    • ④ 종파 간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일심 사상을 제창하였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밑줄 친 (   )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왕의 총애를 받는 이들이 곁에 있으면서 정권을 훔쳐 제 마음대로 하니 기강이 문란해졌다. 게다가 기근까지 겹치자 백성이 떠돌아다니고 도적이 곳곳에서 봉기하였다. 이에 (   )은/는 몰래 왕위를 넘겨다 보는 마음을 갖고, 무리를 불러 모아 왕경의 서남쪽 주현을 돌아다니며 공격하였다. 이르는 곳마다 메아리처럼 호응하여 한 달 만에 무리가 5,000명에 달하니, 드디어 무진주를 습격하였다.
    - 『삼국사기』 -
    • ① 완산주를 도읍 삼아 나라를 세우고 왕위에 올랐다.
    • ② 스스로 미륵불이라고 칭하면서 통치를 정당화하였다.
    • ③ 서해안의 해상 세력으로 활동하던 가문에서 태어났다.
    • ④ 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으로 정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처음으로 과거를 설치하고, 한림학사 쌍기에게 명하여 진사(進士)를 뽑았다.
    - 『고려사』 -
    (나) 최승로가 상서하기를, “태조께서 통합한 후 외관(外官)을 두려고 하셨지만 대개 초창기였으므로 겨를이 없었습니다. … (중략)… 청컨대 외관을 두소서.”라고 하였다.
    - 『고려사』 -
    • ① 광군사가 설치되었다.
    • ②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 ③ 노비안검법이 시행되었다.
    • ④ 처음으로 전시과가 제정되었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다음 정책을 시행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주전도감(鑄錢都監)에서 아뢰기를, "나라 사람들이 비로소 동전 화폐 사용의 이로움을 알아 편리하게 되었으니 바라건대 종묘에 고하소서.”라고 하였다. 이 해에 또한 은병(銀甁)을 사용하여 화폐로 삼았는데, 그 제도는 은 1근으로 만들되 우리나라 지형을 본뜬 것으로 속칭 활구(闊口)라고 하였다.
    - 『고려사』 -
    • ① 남경을 건설하였다.
    • ② 감무를 파견하였다.
    • ③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④ 정계와 계백료서를 지었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밑줄 친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이 (   )을/를 삼가 편수하여 두 권으로 나누어 깨끗이 써서 바칩니다. …(중략)… 예로부터 지금까지 황제들이 이어온 역사, 즉 중국은 반고로부터 금까지, 동국은 단군으로부터 우리 본조까지 그 시작한 근원을 책에서 두루 찾아내어, 같고 틀림을 비교하여 그 요긴함을 추려 풍영(諷詠)으로 시를 지으니 서로 계승하고 주고 받으며 일어남이 손바닥을 가리키듯 분명합니다.
    • ① 편년체와 강목체를 결합하여 서술하였다.
    • ② 예맥, 옥저 등을 모두 단군의 후손으로 서술하였다.
    • ③ 불교사를 중심으로 설화와 야사를 많이 서술하였다.
    • ④ 정통론에 입각하여 마한, 신라를 정통국가로 서술하였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은하: '대각국사'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에 대해 말해 보자.
    다영: 문종의 넷째 아들로 11세에 출가했어.
    서정: [                    ]
    • ① 지혜로써 사물을 관조하는 지관을 중시했어.
    • ② 『천태사교의』를 간행하고 천태교학을 강의했어.
    • ③ 송과 요의 대장경을 수집하여 초조대장경을 편찬했어.
    • ④ 이론 연마와 수행을 함께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주장했어.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이 이순지, 김담 등에게 명하여 선명력과 수시력 등의 역법을 참조하여 새로운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이 역법은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되었다.
    • ① 『월인석보』를 언해하여 간행하였다.
    • ② 『이륜행실도』를 편찬하여 보급하였다.
    • ③ 『국조오례의』와 『경국대전』 등을 완성하였다.
    • ④ 『향약채취월령』과 『의방유취』 등을 편찬하였다.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보기>에서 조선시대 교육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보 기 >
    ㄱ. 성균관은 조선왕조 최고의 교육기관이다. ㄴ. 기술교육은 잡학이라 불렀는데 해당 관서에서 가르쳤다. ㄷ.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들을 제사 지내고, 성리학을 연구하는 사립 교육기관이다. ㄹ. 국가에서 전국의 모든 군현에 서원을 설치하여 종6품의 교수나 종9품의 훈도를 파견하기도 하였다.
    • ① ㄱ, ㄴ
    • ② ㄷ, ㄹ
    • ③ ㄱ, ㄴ, ㄷ
    • ④ ㄱ, ㄴ, ㄹ
    (2023년 계리직 기출문제)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