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파일처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복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같은 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어 동일 수준의 보안이 가능하다.
    • ② 데이터 저장공간에 대한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 ③ 데이터 간의 불일치로 인해 데이터 일관성이 결여된다.
    • ④ 데이터 갱신 시 중복된 모든 데이터를 찾아내어 갱신해야 하므로 갱신 비용이 추가된다.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다음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주요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정규화 ㄴ. 물리적 설계 ㄷ.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ㄹ. 개념적 설계 ㅁ. 데이터베이스 튜닝 ㅂ. 논리적 설계
    • ① ㄱ, ㄷ, ㄹ, ㅂ, ㄴ, ㅁ
    • ② ㄱ, ㄷ, ㅂ, ㄹ, ㅁ, ㄴ
    • ③ ㄷ, ㄹ, ㅂ, ㄱ, ㄴ, ㅁ
    • ④ ㄷ, ㅂ, ㄹ, ㄱ, ㅁ, ㄴ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함수적 종속성과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함수적 종속성 X→Y는 릴레이션 내 임의의 두 튜플에서 속성 X의 값이 같을 경우, 속성 Y의 값도 항상 같음을 의미한다.
    • ②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 상태(외연)의 특성이다.
    • ③ 제2정규형에서 릴레이션의 모든 비주요 속성들은 릴레이션의 기본키에 완전하게 함수적으로 종속한다.
    • ④ 정규화는 함수적 종속성과 기본키를 기반으로 주어진 릴레이션 스키마를 분석하는 과정이다.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s)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푸시(push) 기반 서비스
    • ② 최인접 주변 질의
    • ③ TSQL2 언어
    • ④ 윈도우 질의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SQL 질의문은 동치인 관계대수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 SQL 질의문을 관계대수식으로 변환한 것 중 옳은 것은? (단, 제품 테이블 P, 판매 테이블 S, 집계함수 표현을 위한 관계대수 연산자 기호는 ㉠으로 한다)
    Schema: S(sId, sDate, pId, sAmount)
                   P(pId, pName)
    SQL: SELECT SUM(sAmount)
             FROM P, S
             WHERE S.pId = P.pId AND P.pName='P1'
             GROUP BY sDate;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다음 트랜잭션의 선행그래프 및 그와 동치인 직렬 가능한 스케줄의 쌍들이다. 이 쌍들 중 옳지 않은 것은?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다음 ‘사원’ 테이블을 생성하는 SQL문에서 부서의 속성값을 ‘인사’, ‘연구’, ‘영업 ’으로제한하고자한다 . ㉠ , ㉡에들어갈내용으로옳은것은?
     
    UNIQUEON
    CHECKON
    UNIQUEIN
    CHECKIN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2개의 계좌 A1, A2의 잔액이 각각 2,000,000원, 3,000,000원이라고 하자. 이 상태에서 각 계좌의 관리를 수행하는 트랜잭션 T1 및 T2의 실행이 다음과 같을 때, 발생한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T2가 계좌 A2에 2,500,000원을 더해 5,500,000원이 됨
    2: T1이 계좌 A1에 1,500,000원을 더해 3,500,000원이 됨
    3: T2가 계좌 A1의 잔액(3,500,000원)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A1에서 A2로 2,500,000원 이체를 실행함
    4: T1이 알 수 없는 이유로 트랜잭션의 수행이 실패함
    • ① 오손 판독(dirty read)
    • ② 반복할 수 없는 판독(non-repeatable read)
    • ③ 부정확한 요약(incorrect summary)
    • ④ 유령 판독(phantom read)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로킹(locking)을 이용한 DBMS 동시성 제어기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2단계 로킹 프로토콜(two-phase locking protocol)의 확대 단계에서는 로크를 해제할 수 없지만, 축소 단계에는 로크를 해제한 후 같은 항목에 대하여 다시 로크를 획득할 수 있다.
    • ② 로킹 기법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동시성을 제어하면 항상 직렬 가능(serializable)한 스케줄을 보장한다.
    • ③ 다중 단위 로킹(multiple granularity locking) 프로토콜에서 SIX(intention-shared-exclusive) 로크가 걸려있는 노드에 IS (intention-shared) 로크를 추가로 걸 수 있다.
    • ④ 2단계 로킹 프로토콜을 활용하면 불필요한 교착상태(deadlock)를 회피할 수 있어서 트랜잭션의 철회(rollback)를 막을 수 있다.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다음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변환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밑줄은 기본키이다)
    • ① E1(KA1, A2)
      E2(KA2, A3, KA1)
      E21(KA2, A4)
    • ② E1(KA1, A2, KA2)
      E2(KA2, A3)
      E21(KA2, A4)
    • ③ E1(KA1, A2)
      E2(KA2, A3)
      R(KA1, KA2)
      E21(KA2, A4)
    • ④ E1(KA1, A2, KA2)
      E2(KA2, A3, A4)
    (2018년 7급 국가직 데이터베이스론)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