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조정자로서 관료의 역할 상을 강조한다.
    • ② 분석단위로 조직 내(intra-organization) 연구를 강조한다.
    • ③ 경쟁적 작동원리보다는 협력적 작동원리를 중시한다.
    • ④ 공공문제 해결의 기제로써 네트워크의 활용을 중시한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국가의 고위공무원을 범정부적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인사관리 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
    • ② 개방형임용 방법, 직위공모 방법, 자율임용 방법을 실시한다.
    • ③ 국가공무원으로 보하는 부시장, 부지사, 부교육감 등은 해당되지 않는다.
    • ④ 원칙적으로 직무성과급적 연봉제를 적용한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민츠버그(H. Mintzberg)가 제시한 조직구조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계적 관료제(machine bureaucracy)는 막스 베버의 관료제와 유사하다.
    • ② 임시조직(adhocracy)은 대개 단순하고 반복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된다.
    • ③ 폐쇄체계(closed system)적 관점에서 조직이 수행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 ④ 사업부 조직(divisionalized organization)은 기능별, 서비스별 독립성으로 인해 조직전체 공통관리비의 감소효과가 크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총액인건비제도의 운영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① 민주적 통제의 강화
    • ② 성과와 보상의 연계 강화
    • ③ 자율과 책임의 조화
    • ④ 기관운영의 자율성 제고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행정과 법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법규는 행정에 합리적·합법적 권위를 부여하는 원천이다.
    • ② 법은 행정활동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③ 정부가 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권리구제를 위한 사법적 결정을 하는 경우도 있다.
    • ④ 경직적인 법규의 적용은 행정과정에서 목표와 수단이 전도되는 상황을 유발시킬 수 있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해크먼(J. Hackman)과 올드햄(G. Oldham)의 직무특성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잠재적 동기지수(Motivating Potential Score :MPS) 공식에 의하면 제시된 직무특성들 중 직무정체성과 직무중요성이 동기 부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 ② 허즈버그의 욕구충족요인이원론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③ 직무정체성이란 주어진 직무의 내용이 하나의 제품 혹은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 ④ 이 모델은 기술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환류 등 다섯 가지의 핵심 직무특성을 제시한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우리나라 기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기금관리주체는 안정성, 유동성, 수익성 및 공공성을 고려하여 기금자산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 ② 기금관리주체는 매년 1월 31일까지 당해 회계연도부터 5회계 연도 이상의 기간 동안의 신규사업 및 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하는 주요 계속사업에 대한 중기사업계획서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③ 국회는 정부가 제출한 기금운용계획안의 주요항목 지출금액을 증액하거나 새로운 과목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미리 정부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 ④ 정부는 주요항목 단위로 마련된 기금운용계획안을 회계연도 개시 60일 전까지 국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정책결정 모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점증주의 모형에 따르면 합리적 방법에 의한 쇄신보다는 기존의 상태에 바탕을 둔 점진적 변동을 시도한다고 본다 . ㄴ. 공공선택 모형은 관료들의 자기이익 추구를 배제한 공익차원의 집단적 의사결정 방식이다. ㄷ. 엘리슨 모형은 정책결정 모형을 합리모형, 조직과정모형, 관료정치모형 관점에서 정리한 것이다. ㄹ. 쓰레기통 모형에 따르면 문제 흐름, 선택기회 흐름 및 참여자 흐름이 만나 무의사결정을 하게 된다고 본다.
    • ① ㄱ, ㄴ
    • ② ㄱ, ㄷ
    • ③ ㄴ, ㄹ
    • ④ ㄷ, ㄹ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유형과 그 사례가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시장형 공기업-한국마사회
    • ② 준시장형 공기업-한국토지주택공사
    • ③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한국농어촌공사
    • ④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국민연금공단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사바티어(P. Sabatier)와 마즈매니언(D. Mazmanian)이 효과적인 정책집행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본 전제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정책결정의 내용은 타당한 인과이론에 바탕을 둔 것이어야 한다.
    • ② 법령은 명확한 정책지침을 가지고 대상 집단의 순응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 ③ 정책목표의 집행과정에서 우선순위를 탄력적이고 신축적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 ④ 유능하고 헌신적인 관료가 정책집행을 담당해야 한다.
    (2011_9급_지방직_행정학개론(A)_2011년 05월 14일)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