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중에서 신공공관리론(NPM)의 오류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두된 신공공서비스론(NPS)에서 주장하는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 ① 지출보다는 수익 창출
    • ② 노젓기보다는 방향잡기
    • ③ 서비스 제공보다 권한 부여
    • ④ 고객이 아닌 시민에 대한 봉사
    • ⑤ 시장기구를 통한 변화 촉진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공무원 정원과 관련한 다음의 서술 중에서 옳은 것은?
    • ① 공무원 숫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상과 관련해 싸이몬 (Simon)은 ‘공무원 팽창의 법칙’을 주장하였음
    • ②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를 거치면서 우리 나라 공무원 정원은 매번 일관되게 증가해왔음
    • ③ 정부 규모 팽창과 관련하여 ‘부하배증의 법칙’과 ‘업무배증의 법칙’은 각각 별개로 작용하며 서로 영향을 주지는 않음
    • ④ 행정기구의 팽창과 더불어 공무원 숫자가 증가하는 현상은 우리나라에만 해당하는 독특한 것임
    • ⑤ ‘부하 배증의 법칙’은 A라는 공무원이 과중한 업무에 허덕이게 될 때 자기의 동료 B를 보충받기보다는 자기를 보조해줄 부하 C를 보충받기를 원한다는 것임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해설보기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시민들의 가치관 변화가 행정조직 문화에 미친 영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시민들의 프로슈머(Prosumer) 경향화는 관료주의적 문화와 적절한 조화를 형성할 것이다.
    • ② 개인의 욕구를 중시하는 개인주의적 태도는 공동체적 가치관과 갈등을 빚기 시작했다.
    • ③ 시민들의 가치관과 태도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들은 아직도 행정조직 고유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④ 1990년대 이전까지는 경제성장과 국가안보라는 뚜렷한 국가 목표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⑤ 공공서비스 공급에서 행정조직 간 경쟁, 민간화가 활성화 되고 있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합리적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책문제를 정의할 때의 주요 요인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 ① 관련 요소 파악
    • ② 관련된 사람들이 원하는 가치에 대한 판단
    • ③ 정책대안의 탐색
    • ④ 관련 요소들간의 인과관계 파악
    • ⑤ 관련 요소들간의 역사적 맥락 파악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윌슨(Wilson)이 주장한 규제정치모형에서 ‘감지된 비용은 좁게 집중되지만, 감지된 편익은 넓게 분산되는 경우’에 나타 나는 유형은?
    • ① 대중정치
    • ② 이익집단정치
    • ③ 고객정치
    • ④ 기업가정치
    • ⑤ 네트워크정치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정책의제 설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적으로 정책의제는 정치성, 주관성, 동태성 등의 성격을 가진다.
    • ② 정책대안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정책문제를 잘못 인지 하고 채택하여 정책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현상을 2종오류라 한다.
    • ③ 킹던(Kingdon)의 정책의 창 모형은 정책문제의 흐름, 정책 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이 어떤 계기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정책의제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 ④ 콥(R.W. Cobb)과 엘더(C.D. Elder)의 이론에 의하면 정책 의제 설정과정은 사회문제-사회적이슈-체제의제-제도 의제의 순서로 정책의제로 선택됨을 설명하고 있다.
    • ⑤ 정책의제의 설정은 목표설정기능 및 적절한 정책수단을 선택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정책집행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정책의 희생집단보다 수혜집단의 조직화가 강하면 정책 집행이 곤란하다.
    • ② 집행은 명확하고 일관되게 이루어져야 한다.
    • ③ 규제정책의 집행과정에서도 갈등은 존재한다고 본다.
    • ④ 정책집행 유형은 집행자와 결정자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 진다.
    • ⑤ 정책집행에는 환경적 요인도 작용한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사회자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당사자들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자산이다.
    • ② 한 행위자만이 배타적으로 소유권을 행사할 수 없다.
    • ③ 협력적 행태를 촉진시키지만 혁신적 조직의 발전을 저해한다.
    • ④ 행동의 효율성을 제고시킨다.
    • ⑤ 사회적 관계에서 거래비용을 감소시켜 준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책임운영기관은 집행기능 중심의 조직이다.
    • ② 책임운영기관의 성격은 정부기관이며 구성원은 공무원이다.
    • ③ 책임운영기관은 융통성과 책임성을 조화시킬 수 있다.
    • ④ 책임운영기관은 공공성이 강하고 성과관리가 어려운 분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 ⑤ 책임운영기관은 정부팽창의 은폐수단 혹은 민영화의 회피 수단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조직구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알맞은 것은?
    • ① 매트릭스 조직은 수평적인 팀제와 유사하다.
    • ②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솔의 범위는 과거보다 좁아졌다고 판단된다.
    • ③ 기계적 조직구조는 직무의 범위가 넓다.
    • ④ 유기적인 조직은 안정적인 행정환경에서 성과가 상대적 으로 높다.
    • ⑤ 수평적 전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업무는 단순해 진다.
    (2013_9급_서울시_행정학개론(A)_2013년 09월 07일) 오류신고 정답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