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 일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각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이다.
ㆍ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 조직이나 기관의 총괄적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이다.
ㆍ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베이스 구조이다.
중위 표기법 → 전위 표기법
ㆍ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 괄호로 묶습니다.
( ( ( A * B ) + C ) - ( D / E ) )
ㆍ연산자를 해당 괄호의 앞으로 옮깁니다.
- ( + ( * ( A B ) C ) / ( D E ) )
ㆍ괄호를 제거합니다.
- + * A B C / D E
스택(Stack)의 응용 분야
ㆍ함수 호출의 순서 제어
ㆍ부프로그램(서브루틴) 호출 시 복귀 주소의 저장
ㆍ재귀(Recursive) 프로그램의 순서 제어
ㆍ수식의 계산
ㆍ0-주소지정 방식
ㆍ컴파일러를 이용한 언어 번역
ㆍ선형 자료 구조 : 선형 리스트, 연결 리스트, 스택, 큐, 데크
ㆍ비선형 자료 구조 : 트리, 그래프
뷰(View)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Virtual Table)입니다.
개체-관계(Entity-Relationship) 모델은 1976년 Peter Chen이 제안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개체 타입(Entity Type)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Relationship Type)을 이용해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방법입니다.
ㆍC, B, A, D : PUSH A → PUSH B → PUSH C → POP C → POP B → POP A → PUSH D → POP D
ㆍB, A, D, C : PUSH A → PUSH B → POP B → POP A → PUSH C → PUSH D → POP D → POP C
ㆍB, C, D, A : PUSH A → PUSH B → POP B → PUSH C → POP C → PUSH D → POP D → POP A
트랜잭션 모델링은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