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자료의 중앙값과 산술평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 17, 16, 19, 14, 11, 15
    • ① 중앙값이 산술평균보다 크다.
    • ② 중앙값이 산술평균보다 작다.
    • ③ 중앙값과 산술평균이 같다.
    • ④ 알 수 없다.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2 확률변수 X가 평균이 12이고 분산이 25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확률변수 Y=20-2X일 때, P(Y<16)과 같은 값은? (단, Z는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이다)
    • ① P(X<2)
    • ② P(X>-2)
    • ③ P(Z>2)
    • ④ P(Z>-2)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3 다음은 분산이 같고 서로 독립인 두 정규모집단 A와 B에서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두 모집단의 공통분산에 대한 추정량인 합동표본분산(pooled sample variance)과 합동 표본분산의 자유도를 구하면? (단, 두 모집단의 공통분산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4 자료 ㉠와 다음의 변환으로 생성된 ㉡에 대하여 자료 ㉢ 사이의 표본상관계수가 가장 큰 것은? (단, i=1,2,…,9)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5 공정한 주사위를 5 또는 6의 눈이 처음으로 나올 때까지 던지는 횟수를 확률변수 X라 할 때, 조건부확률 P(X≤2|X≤4)의 값은?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6 평균이 μ, 분산이 σ²인 정규모집단에서 8개의 임의표봄을 추출하여 얻은 표본평균이 ㉠이고 표본표준편차가 s일 때, 가설 ㉡ 대 ㉢ 에 대한 검정통계량의 값은 ㉣이다. ㉤를 자유도 v인 t 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라 할 때, 유의확률(p-값)은? (단, 분산 σ²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은 0이 아니다)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7 표본의 크기가 10인 어느 자료에 단순선형회귀모형 ㉠을 적용하여 최소제곱법으로 얻은 오차제곱합(잔차제곱합)이 36일 때, ㉡의 분산에 대한 불편추정량의 값은? (단, ㉢는 서로 독립이며 평균이 0, 분산이 σ²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 ① 2.0
    • ② 3.6
    • ③ 4.0
    • ④ 4.5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8 다음은 어느 제품에 포함된 두 인자 A, B의 수준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반복이 있는 이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적용하여 얻은 분산분석표의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인자 A의 F-값은 7이다.
    • ② 인자 B는 두 가지 수준을 갖는다.
    • ③ 유의수준 5%에서 제품의 품질은 인자 B의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 ④ 유의수준 5%에서 인자 A와 인자 B의 교호작용에 따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9 다음은 X 가 Y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X 가 독립변수(설명변수)이고 Y 가 종속변수 (반응변수)인 단순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최소제곱법으로 얻은 추정회귀식은?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
  • 10 π₁은 처리 A에서의 성공확률이고 π₂는 처리 B에서의 성공확률이다. 처리변수와 반응변수 간의 오즈비가 2일 때, 옳은 것은? (단, 오즈비 = ㉠이며, π₁과 π₂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다)
    • ① 처리 A의 성공오즈가 0.5이면 처리 B의 성공확률은 0.2이다.
    • ② 처리 A의 성공확률이 0.5이면 처리 B의 성공오즈는 0.2이다.
    • ③ 처리 A의 성공확률은 처리 B의 성공확률의 2배이다.
    • ④ 처리 A의 성공오즈는 처리 B의 성공확률의 2배이다.
    (2018_7급_국가직_통계학(나)_2018년 08월 18일) 오류신고 정답확인